미국의 물가 발표 8%를 넘어설 것

미국의 물가지표 발표를 하루 앞두고 지난달 물가가 8%를 넘어설 것이란 경계감에 원·달러 환율이 2거래일 연속 1230원을 넘었다.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233.1원)보다 3.1원 오른 1236.2원에 문을 닫았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2원 오른 1235.3원에 문을 열었다. 이후 장중 1238.4원까지 치솟으며 1240원을 테스트 했으나 끝내 넘지는 못했다. 원·달러 환율은 미 연준의 고강도 긴축 가능성에 전날 18거래일 만에 1230원을 재돌파 한 바 있다. 5거래일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미 소비자 물가지수(CPI)

1982년 이후 최고치

 

1). 미국은 오는 12일(현지시간) 소비자 물가지표 발표를 앞두고 있다. 지난 2월 미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대비 7.9% 오르며 198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3월 미국 소비자물가가 8%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미 연준의 고강도 긴축 경계감에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2).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포인트 빅스텝 가능성이 기정 사실화 되고 있다.

뉴욕 연은 조사결과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중앙값이 6.6%로 급등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3년 기대인플레이션은 3.8%로 소폭 둔화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1년 내 가계 재정 개선 기대는 23%로 역대 최저치를 달성했다.

미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도 이어지고 있다.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찰스 에반스 미국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는 5월 FOMC에서 0.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 높다고 주장했다.


국제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하회

국제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하회를 지속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48% 하락한 배럴당 95.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5거래일 연속 배럴당 100달러 밑으로 마감했다. 미국이 앞으로 6개월간 하루 100만 배럴의 비축유를 추가로 방출하기로 한 데 이어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들도 수천 만 배럴의 원유를 추가로 방출하기로 하면서 유가가 하락 압력을 받았다.


나스닥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마감

같은 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나스닥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3.04포인트(1.19%) 내린 3만4308.08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75.75포인트(1.69%) 하락한 4412.5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99.04포인트(2.18%) 내린 1만3411.96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3.4% 반등했던 나스닥 지수는 이달 들어 5% 넘게 떨어졌다.

이날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장보다 1.90% 오른 2.774%로 마감했다. 국내 시간으로 9시 10분 현재 2.809%로 2.8%를 넘어섰다. 2019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통화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전장보다 1.76% 내린 2.499%로 마감했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12일(현지시간) 3년여 고점을 찍은 뒤 후퇴하기 시작했고 소비자물가지표(CPI) 발표 후 낙폭을 확대했다.

CNBC에 따르면 10년물 수익률은 이날 장 초반 2.82%까지 전전, 2018년 12월 이후 최고를 기록한 뒤 하락세로 돌아섰고 뉴욕 시간 오전 9시 18분 5.9bps 내린 2.723%를 가리켰다.

국채 수익률 하락과 동시에 미국 증시 주가 지수 선물은 상승폭을 확대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 선물은 이 시간 약 1.5% 올랐다.국채 수익률 하락 및 증시 상승폭 확대와 관련, CNBC는 미국의 3월 근원 CPI가 예상 보다 소폭 오른 데 투자자들이 위안을 받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3월 CPI는 전년비 8.5% 상승, 1981년 말 이후 가장 큰 폭 올랐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소위 근원 CPI는 전월비 0.3%, 전년비 6.5% 상승, 모두 예상치를 하회했다.


2022 04 12 금값시세

오늘의 금시세는 59000원에 거래중이며 국제 금값 시세는 1962.13원 전일 대비 14.73%상승하였고 기준 환율은 1.233원 전일대비 2.71% 순금값 시세는 살때 : 320000만원 / 팔때 290000원 /

18k금시세살때 230000원 / 팔때 208000원 / 14k 금시세 살때 : 180000원 / 팔때 : 161000원에 거래중이다


현물 / 선물 (시바이누 폭등 예상)

도지코인은 지난주 6% 하락한 0.11달러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다. 시바이누(SHIB)코인은 지난주 8% 급락한 0.0000214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도지코인은 작년 5월보다 85% 떨어진 가격이며, 시바이누코인은 작년 10월보다 75% 떨어진 가격으로 거래중이다 현재 알트코인의 전체적인 하락세 전체 등락률은 3~5%가량식 하락하고 있으나 현재 시바이누(SHIB)는 예외가 될 것이라는 전망하고 있다

탈중앙화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어와 행동 따위를 모방해 만든 사진이나 영상) 암호화폐 시바이누(SHIBA INU, SHIB)가 수수료 없는 투자 앱 로빈후드(Robinhood)에 상장했다는 소식에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모바일 투자 서비스 로빈후드가 시바이누를 비롯해 솔라나(SOL), 폴리곤(MATIC), 컴파운드(COMP) 등을 암호화폐 마켓에 상장했다는 공시 효과로 시바이누 코인은 현재 12% 급등중이다

유로화 지속적인 하락세

 

유로화 는 2022년 1분기에 큰 손실을 입었다 

 

유로화 는 주요 통화 대비 평균 약 3% 하락하여 7년 만에 최악의 3개월 실적을 기록했다. 작년 하반기의 손실과 함께 유로화는 9개월 동안 거의 4.5%를 포기 직전입니다 누적 손실은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배경으로 등록된 올해 3월 이후 지속적인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번 전쟁으로 유가 지속 상승과 더불아 우크라이나 난민 속출 또한 계속 급증하고 있다 환율 조회기준 1유로 현재 1 eur = 1330krw꼴로 거래중이며 러시아 루블환율은 100rub = 1547원 일본 엔화환율 시세는 100jpy= 989krw에 거래중이다 원환율 100엔당 8.66원 내린 988.13원으로 나타났다.


2018년 12월5일(985.45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그만큼 엔화 대비 원화의 가치가 절상된 것이다 100엔당 원화환율 3년4개월만에 980원대로 하락하여 통상 1000천원을 유지하던 엔화는 이제는 1000천원대 가격밑으로 떨어졌다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화지수(달러인덱스)는 7일 종가 기준으로 99을 넘어서면서 전주대비 0.14% 상승했다.달러화 대비 유로화의 가치는 16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불과 삼일 전 1.097달러 수준에 거래됐지만 현재 8일기준 1.087달러에 거래중이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유럽 경제재제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해 처벌하기 위해 유럽과 미국 경제 제재의 연쇄 효과로 인해 현재 엔화 및 유로화 약세가 더욱 악화되었다. 현재 이러한 조치는 러시아 중앙 은행의 막대한 외환 보유고를 동결하고 중요한 SWIFT 은행 통신 시스템에서 러시아 경제의 막대한 부분을 차단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러시아에 대한 경재제재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러시아정부는 이런 유럽 경재제재 조치로 따른 러시아 경제에 직접적인 많은 피해을 줄것이라는 예상은 현재 하고 있지 않는편이다 그이유는 . 2021년 총 무역의 5.8%를 차지하는 광범위한 EU의 5번째로 큰 교역 파트너이고. 유럽은 에너지, 목재, 비료, 철 및 철강을 포함한 주요 원자재를 러시아로부터 구매합니다. EU 기업들은 또한 작년에 러시아에 1200억 유로 이상의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어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에 따른 수입의 현재 많은 편이라 쉽사리 재제을 여러 국가에서 시행하기에는 부담이 큰 편이다

 

유로 대 주요 통화의 평균 - 월간 차트

우크라이나 나토가입 불허 밑

협상 진전시 유로 반등가능성 높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빠른 시일내 끝나면서 이로 인해 경제재제가 빠른시일내에 완화되면 유로가 빠르게 다시 반등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할수 없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 격렬해지고 있지만 언제든 양자 협상을 통한 경제 완화가 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초기의 빠른 공격으로 우크라이나을 장악하려는 시도가 무산된 후 장기적인 전투로 확대하려는 러시아의 움직임은 현재 빠른 시일내에 협상을 통한 전쟁을 끝내고 싶어한다 더이상의 장기적인 전투에서의 피해는 러시아가 원하던 그림과는 다른 양상일것이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나중에" 영토 주장을 논의하기 위한 상호 합의에 따라 제재 완화를 위해 무역 철수 및 단계적 완화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하였다 . 한편, 키예프는 러시아와 NATO 동맹 사이의 "중립성"을 거래 조건 중 하나로 받아들이는 것을 주요 협상 테이블에 쓰고 있어 협상에 난항또한 예상되어있다


러시아군 NATO는 개입하지 마라

러시아군는 현재 우크라이나군 원하는 완충 지역중 모스크바을 원하고 있는듯 보인다 현재 러시아 정부가 이렇게 까지 나토을 싫어하는 배경에는 러시아의 유럽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서 만든 군사동맹이기 때문이다 현재 나토 북대서양조약기구는 1949년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등 12개국이 결성한 군사동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내용에는 나토 회원국은 한 회원국이 무력 공격을 받을 경우 지원하기로 동의한다 혹은 1955년 옛 소련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 군사 동맹체인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창설해 나토에 대응하기 위해서 개설 되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시 자신들에게 실질적인 전쟁 위험이 가중될수 있다는 불안감에 원인으로 현재 러시아 정부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더 가속화 시키고 있다

최근 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일부라고 발언했다.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는 친서방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헌법에 EU와 나토 가입을 국가적 목표로 명시했다.현재 우크라이나는 나토의 '파트너 국가'다. 나토 회원국이 우크라이나가 향후 동맹에 가입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한다는 뜻이다.러시아는 서방 열강이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지 않도록 보증하길 바라고 있다.하지만 미국과 동맹국은 우크라이나가 주권 국가로서 안보 동맹을 결정할 자유가 있다며 가입 금지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ECB 금리 전망

ECB 금리 전망은 유로 상승을 제한할 가능성이 현재 높은편이다 그러나 유로화는 현재 증가하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자신들의 목표로 하는 활발한 금리 인상에 방침에 따라 언제든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4월 초부터 지금까지 일주일이 넘는기간 현재 유로환율 시세는 1.0877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연준 금리 발표로 인해 현재 국제 시장 가격은 미국. 캐나다 및 뉴질랜드에서 금리 2% 넘게 인상을 목표로 잡고있어 현재 유로화의 상승을 일시적으로 올릴 가능성또한 배제할수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2022년 동안 일련의 5번의 10bps 금리 인상으로 ECB의 예금 금리는 현재 -0.5%에서 다시 0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신한은행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한 가상계좌 개설이 가능해지다 

 

신한은행이 일부 법인을 상대로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한 가상계좌를 내준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이들은 신한은행 제휴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7일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신한은행 측은 최근 자체 내부 평가를 거쳐 문제가 없는 회사들 대상으로 가상자산 거래를 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발급해줬다고 밝혔다.해당 법인들에는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 고객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KDAC은 코빗과 블록체인 기술기업 블로코, 리서치 기업 페어스퀘어랩이 공동 설립한 가상자산 커스터디사다.그동안 주요 원화마켓 거래소들이 고객확인 절차를 시행하면서 법인 대상 거래를 제한해온 만큼 이번 신한은행의 조치로 법인들의 가상자산 투자길이 본격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신한은행을 통해 가상계좌를 발급받은 법인들은 신한은행과 제휴를 맺은 코빗에서 거래가 가능할 전망이다. 코빗은 고객 기반을 개인에서 법인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은행권 가상자산 서비스 허용 불가 결정

 

은행권이 당초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에 전달하기로 한 은행업계 제언을 전달하지 않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해당 제언 보고서 초안에는 '가상자산(암호화폐) 서비스 진출 허용'이 가장 먼저 언급돼있었다.
은행연합회는 은행권 건의 사항을 취합해 '은행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보고서 초안을 만들고, 은행권에 전달해 의견 수렴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최근 논의 결과 인수위에 전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은행들은 인수위에 직접 의견을 개진하기보다는 그간 해왔던 것처럼 금융당국과 사안별로 논의를 이어가는 게 적절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건의사항들을 보다 구체화해 금융당국과 협의해 나가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